과학계에서 뉴턴 물리학은 수세기동안 절대의 진리라고 믿어왔다. 그러나 아인쉬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한 이후로 많은 부분이 초라해졌다.
이처럼 우리가 믿고 있는 많은 과학이론에는 예외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론이 주창된 이후 예외가 성립되지 않은 법칙이 있다.

그것은 바로 '엔트로피(entropy)' 법칙이다.

성공과 엔트로피법칙!
언듯 보면 어울리지 않는 따로국밥 같지만 삶의 원리와 과학의 원리에는 비슷한 부분이 많다
엔트로피 법칙은 열역학 제2 법칙으로 화학에서는 매우 비중이 큰 이론에 속한다.
여기서 그 법칙을 자세히 얘기하는 것은 어울리지도 않고, 그럴 능력도 못 되지만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모든 물질은 자연의 상태에서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간다.'
(네이버 백과사전: 어느 경우에나 엔트로피가 증가하지만 그 반대의 과정은 마치 난잡하게 흩어져 있는 실내를 원래의 정연한 상태로 정리하는 것처럼 무질서에서 질서로 옮겨가는 것이며 이 과정은 자발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즉 자연스럽게 놔두면 질서가 깨어져서 혼란스러워 지거나 허물어져 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아무리 튼튼한 건물을 지어도 수백년 수천년이 지나면 자연의 풍화작용에 의해 허물어지게 된다.
아무리 웅장한 바위라도 수십만년이 지나면 무너지고 부서져서 한줌의 흙이 되버린다.

우리의 삶도 이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인위적인 의지가 부여되지 않으면 삶은 흐트러지게되고 무질서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너무도 자연스러운 것이다.

의지력과 사색이 결여되는 삶은 자연스럽게 무질서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삶이 극에 달하면 흔히 '막가는 인생' '막가파 인생'이라고 농담삼아 말한다. 그런 삶의 최후는 비극으로 끝나기 쉽다.

재미있는 드라마가 나오면 보고 싶고, 맛있는 음식을 보면 먹고싶고,
잠이오면 자고 싶고, 귀찮은 일은 하기 싫어 하는게 너무도 당연하다.

그러나 성공을 원하고 변화를 원한다면 다른 방법이 없다.
스스로를 통제해야 한다. 사색과 통제력이 없으면 무질서해지고 흐트러지게 된다.
엔트로법칙은 우리의 삶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자연스러운 상태로 놔두면 무질서해져 버리고 만다.

과학계에서 엔트로피법칙을 벚어난 듯한 이론이 있다.
자기 조직화(Self organization)라고 하는데 이것은 생명체의 진화과정에서 보이는 독특한 형상이다.

즉 단세포 동물에서 고등동물로 진화한 생명체는 스스로 조직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세포와 기관들이 더 섬세하고 정교하게 변했다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아주 귀중한 삶의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저차원에서 고차원의 존재로 탈바꿈 하기 위해선 스스로를 조직화하고 체계화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규율이 필요한 것이다.
타인이 나의 발전을 위해서 통제해 주는 것은 어릴때와 학교 다닐때 뿐이다.
그래서 스스로 규율을 정하고 자신을 통제해야 한다.

또한 규율을 정한 후에 예외를 너무 쉽게 허락하면 안된다.
퇴근 후 매일 운동하기로 작정을 한 사람이 있다고 하자
처음은 꾸준히 조깅을 하지만 며칠 후 퇴근을 늦게해서 조금 피곤하게 되면 한번쯤이야 하고 자기와의 약속을 어기게 된다.
그러면 이미 실패한 것이다.
금연을 결심한 사람은 몇달을 끊었어도 한번만 자기와의 약속을 어기게 되면 곧바로 허물어 진다.
성공을 위해서는 건전한 소망을 하고 뚜렷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결국은 행동으로 성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동력은 스스로 무질서 해지려는 자신을 통제하고 자신과의 약속에 대해 예외를 쉽게 허락하지 않는 의지력으로 좌우된다

----------------------------
www.successguide.co.kr

'인생을 풍요롭게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을 프로그래밍 하라  (1) 2010.06.24
간절히 바라는 것이 무엇인가  (1) 2010.06.17
에너지를 빼앗기지 말라  (0) 2010.06.15
절제에 대한 사색  (5) 2010.05.28
비틀즈 신화의 비밀  (2) 2010.05.26
절망으로 부터 탈출  (3) 2010.05.20
나를 경영하라  (6) 2010.05.18
Posted by 카이사르21